[김대호의 경제읽기] 정부, 코로나19 'K-방역모델' 경제협력 자산 활용<br /><br /><br />정부가 코로나19에 대응과 관련해 최근 전세계 40여개 국가에서 우리의 방역경험 공유를 요청하고 있다며, 한국식 방역모델인 'K-방역모델'을 대외경제협력 심화를 위한 자산으로 적극 활용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이런가운데 코로나19가 장기화 되며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국제 금값은 고공행진을, 국내 휘발유값이 13주 연속 하락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보다 자세한 소식, 에서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정부가 세계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우리나라의 코로나19 예방과 방역을 외국과의 경제협력을 위한 자산으로 활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코로나19 사태로 안정적 방역과 투명한 국가 시스템이 투자와 교역 상대국에 한층 중요해진 상황이라 할 수 있는 지금, 우리가 '방역 모범국' 타이틀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이와 함께 정부는 올해 대외경제정책의 중점을 무엇보다 '수출력 견지'에 두고 5월 중 '해외인프라 수주 활성화 방안'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는데요. 우리 경제의 근간이기도 하는 수출 충격을 줄이기 위한 대책 조언해주신다면요?<br /><br /> 한편, 당정이 서울과 경기도 등 8개 시도의 초·중·고 학생 364만 명을 대상으로 '농산물 꾸러미' 지원사업을 시행하기로 했습니다. 학교 급식이 중단된 데 따른 농가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안인데 어떻게 평가하시나요? 농가 피해 완화에도 도움이 될까요?<br /><br />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금값이 연일 고공행진하고 있습니다. 국제유가가 마이너스까지 폭락한 상황에서 국제 금값 시세가 3000달러를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던데 지난달 중순까지만 해도 하락세였던 금값이 갑자기 상승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때문일까요?<br /><br /> 일각에서는 강세를 보이고 있는 금값에 대한 경고의 목소리도 내고 있습니다. 세계적인 투자의 대가로 불리는 워런버핏은 금에 투자하는 것을 경고했다던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? 아울러 향후 금값도 전망해주신다면요?<br /><br /> 국내 휘발유 가격이 13주째 하락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L당 1200원대까지 내려앉았습니다.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국제유가 영향이 컸다고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극심한 수요부진과 국제유가의 급격한 하락, 정제마진 악화라는 삼중고를 겪고 있는 정유업계는 1분기 실적발표를 앞두고 대규모 적자를 예상하고 있습니다. 향후 전망도 녹록치 않아서일까요? 정유업계에선 세 지원 확대 외에 투자 인센티브 확대 등을 정부에 요청하고 있는데요. 필요성 어떻게 생각하시나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